본문 바로가기

신플라톤주의2

육식 없는 삶을 주장한 포르피리오스 채식주의 고대 철학자의 등장 포르피리오스란 누구인가 신플라톤주의의 중심 인물포르피리오스는 플로티노스의 수제자로 알려진 고대 철학자이며, 신플라톤주의의 체계화에 큰 공헌을 한 인물이다. 그는 단순히 사상의 계승자가 아니라, 그 철학을 윤리적 삶의 방식으로 전환시킨 사상가였다. 플로티노스가 '하나'에 대한 형이상학적 탐구에 몰두했다면, 포르피리오스는 그것을 실천으로 이끄는 철학을 추구했다. 특히 그는 인간의 영혼이 보다 정결하고 이성적인 존재로 변화하기 위해선 식습관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 같은 사유의 결과가 바로 ‘육식을 금하라’는 주장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에게 채식은 단지 건강이나 동물 보호 차원이 아니라, 영혼 정화의 필수적인 철학적 실천이었다. 육식을 피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고대 철학의 채식 선언포르피리오스는 육식.. 2025. 7. 3.
신플라톤주의의 아버지, 플로티노스와 고대 철학자의 신비주의 플로티노스는 누구인가 고대 철학에서 신비주의로의 전환플로티노스는 고대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 활동한 철학자로, ‘신플라톤주의’의 창시자다. 그는 플라톤 철학의 형이상학적 핵심을 계승하면서도, 한층 더 내면적이고 영적인 방향으로 철학을 확장시켰다. 특히 그의 사상은 인간 존재가 어떻게 ‘하나’라는 궁극적 실재로부터 흘러나왔으며, 다시 그 근원으로 어떻게 귀환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심오한 물음을 중심에 둔다. 플로티노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공부한 후 로마로 건너가 철학을 가르쳤고, 제자인 포르피리오스에 의해 그의 강의가 정리되어 에네아드라는 이름으로 남게 된다. 그는 단순히 철학자가 아니라, 철학을 통해 신성을 경험하고자 했던 ‘신비주의자’였으며, 후기 고대철학의 형이상학적 흐름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플로티.. 2025. 7. 2.